삶이 팍팍하고 여유가 없을수록 오히려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느슨함'이다.
여기서 말하는 느슨함이란 게으름이나 무책임함이 아니라, 삶의 긴장과 압박 속에서도 스스로에게 숨 쉴 공간을 허락하고 장기적인 시야를 회복하는 태도다.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 센딜 멀레이너의 연구는 이를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설명하며, 결핍이라는 감정이 인간의 인지 능력과 행동, 사회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결핍이 우리의 사고와 감정에 끼치는 영향
멀레이너 교수의 실험은 한 가지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준다. 자동차 수리비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IQ 점수가 급격히 낮게 측정되었다. 단순한 재정적 압박이 사람의 사고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판단력과 충동 조절 능력이 약화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사소한 일에도 쉽게 짜증을 내거나 실수를 범하게 된다.
이는 단지 개인의 의지나 태도에서 비롯된 문제가 아니다. 결핍은 마치 컴퓨터의 CPU에 부하가 걸린 것처럼, 우리의 정신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방해한다. 즉, 여유가 없을수록 사람은 더 큰 실수를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상황이 반복될수록 자기 효능감은 줄어들고 삶에 대한 자신감 또한 상실된다.
집중력과 사회적 관계의 역설
결핍 상태는 사람의 주의력을 비정상적으로 끌어올린다. 지나친 집중은 오히려 성과를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이는 일명 ‘뒤집힌 U자 곡선’으로 설명된다. 적절한 긴장 상태에서는 생산성이 높아지지만, 그 이상은 오히려 역효과를 낸다. 특히 외로운 사람일수록 대화에서 과도한 집중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대방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주기 쉽다.
이는 단순히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 외로움과 결핍이 만든 심리적 긴장 상태가 사람을 불필요한 오해와 단절로 몰고 가는 것이다. 결국 인간관계에서도 ‘느슨함’은 필요한 요소이며, 스스로를 놓아주는 마음가짐이 타인과의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뒤집힌 U자 곡선(Inverted U-Curve)은 어떤 자극이나 요소가 너무 적어도, 너무 많아도 성과나 효과가 낮고, 적당한 수준일 때 가장 좋은 결과를 낸다는 이론입니다.
예를 들어, 집중력이 너무 부족하면 일에 몰입하지 못해 성과가 떨어지고, 너무 지나치면 긴장과 스트레스로 인해 오히려 실수가 늘어납니다.
딱 적당한 수준의 집중일 때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다는 것이죠.
이 개념은 스트레스, 동기, 긴장감, 주의력 등 다양한 심리적 요소에 적용되며, 대표적인 심리학 이론 중 하나인 예르크스-도드슨 법칙(Yerkes-Dodson Law)과도 관련이 깊습니다. 요약하자면, “적당히가 가장 좋다”는 걸 과학적으로 설명한 곡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느슨함은 절약에서 시작된다
멀레이너 교수는 인도 빈민가의 노점상 사례를 통해 결핍의 악순환을 설명한다. 이들은 매일 수익보다 높은 이자를 내며 돈을 빌리고, 장기적인 저축은커녕 하루하루 버티기 급급하다. 하지만 실상은 매일 아주 작은 금액만 절약해도 장기적으로는 큰 자립의 기반이 될 수 있다. 문제는 그 ‘느슨함’을 허락받지 못한 삶의 구조에 있다.
결국 삶의 여유는 사치가 아니라 전략이다. 하루 10분의 명상, 20분의 산책, 짧은 독서 한 페이지도 느슨함의 실천이 될 수 있다. 당장 눈앞의 이익보다는 긴 호흡을 들이쉬는 습관이 장기적으로 삶을 바꾸는 첫걸음이 된다.
느슨함을 위한 마음의 재정비
결핍에 사로잡힌 사람들은 장기적인 투자보다는 즉각적인 보상에 끌리기 쉽다. 이처럼 결핍은 물질의 부족만이 아니라, 마음의 여유가 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결핍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단순히 돈이나 시간 그 자체가 아니라, 자신을 향한 너그러움이다.
법정 스님은 “욕심을 줄이면 여유가 생긴다”고 말했다. 자기 자신을 몰아세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인정하고 당장의 부족함을 받아들이는 것. 그것이야말로 결핍의 덫에서 벗어나는 가장 실질적인 방법이다.
결국 삶의 ‘느슨함’이란, 한 템포 늦춰 생각하고, 미래를 위한 선택을 할 수 있는 여유를 스스로에게 허락하는 것이다. 삶이 빡빡할수록 이 느슨함은 더더욱 절실하다. 지금, 가장 바쁘고 숨 가쁜 당신에게야말로 이 여백이 꼭 필요하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질이란? (0) | 2025.05.04 |
---|---|
젖산이 쌓여서 피로하다 (1) | 2025.04.29 |